티스토리 뷰
톰캣의 환경설정을 하고 신나게 톰캣을 구동해보았다.
하지만 나를 반겨주는것은 외계어?
최초 톰캣 실행 화면
깨져보이는 곳은 한글이 출력되어야하는데 이러한 문제는 Encoding 문제이므로 우선은 logs 폴더 아래에 catalina.log 파일을 먼저 확인하신 후 파일 내에도 한글이 마찬가지로 깨져있는지 확인해주세요.
catalina.log
현재 로그 내의 한글은 깨져있지 않군요! 그러면 한글 깨짐의 원인은 콘솔창의 페이지 모드의 문제.
Tomcat 속성
톰캣의 속성을 보시면 아래 현재 코드페이지가 949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해당 값을 UTF-8인 65001값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레지스트리 값을 수정해주셔야 합니다.
실행창(WIN+R)을 누르시고 regedit을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어주세요.
컴퓨터 > HKEY_CURRNET_USER > Console 위치에 새로운 키 값을 생성해줍니다.
해당 키 값의 이름은 Tomcat으로 입력해주시고 해당 키 값 안에 DWORD(32비트) 값을 하나 추가해 줍니다.
해당 값의 이름은 CodePage로 변경해주시면 아래와 같이 보이실 거에요.
여기서 끝이 아니라 CodePage의 값을 아래와 같이 바꿔주세요
중요한 것은 10진수 선택! > 값 데이터는 65001로 변경
이후 확인 하신다음 톰캣 서버를 재시작 해주세요
한글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Dev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스의 4대 특성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 캡슐화, 상속, 추상화, 다형성) (0) | 2020.04.01 |
---|---|
TOMCAT 포트 번호 변경하기 (0) | 2020.03.31 |
[Java] 하나의 Eclipse에서 여러 버전의 JDK 설정하기 (0) | 2020.03.14 |
[Java] Java EE 설치 (플러그인 설치) (0) | 2020.03.14 |
[Java] Java jdk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0) | 2020.03.14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