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둘 이상의 CPU or 저장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것 요즘 시대에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인원이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사람들에 대해 모든 트래픽을 감당하기엔 1대의 서버로는 부족하다. 대응 방안으로 하드웨어의 성능을 올리거나(Scale-up) 여러대의 서버가 나눠서 일하도록 만드는 것(Scale-out)이 있다. 하드웨어 향상 비용이 더욱 비싸기도 하고, 서버가 여러대면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구성이 용이하므로 Scale-out이 효과적이다. 이때 여러 서버에게 균등하게 트래픽을 분산시켜주는 것이 바로 로드 밸런싱이다. 로드 밸런싱은 분산식 웹 서비스로, 여러 서버에 부하(Load)를 나누어주는 역할을 한다. Load Ba..
UDP 통신이란? User Datagram Protocol의 약자로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이다. 비연결형, 신뢰성 없는 전송 프로토콜이다. 데이터그램 단위로 쪼개면서 전송을 해야하기 때문에 전송 계층이다. Transport layer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TCP와 UDP는 왜 나오게 됐는가? 1. IP의 역할은 Host to Host (장치 to 장치)만을 지원한다. 장치에서 장치로 이동은 IP로 해결되지만, 하나의 장비안에서 수많은 프로그램들이 통신을 할 경우에는 IP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2. 또한, IP에서 오류가 발생한다면 ICMP에서 알려준다. 하지만 ICMP는 알려주기만 할 뿐 대처를 못하기 때문에 IP보다 위에서 처리를 해줘야 한다. 1번을 해결하기 위하여 포트 번호가..
TCP (흐름제어/혼잡제어) TCP 통신이란? 네트워크 통신에서 신뢰적인 연결방식 TCP는 기본적으로 unreliable network에서, reliable network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TCP는 network congestion avoidance algorithm을 사용 reliable network를 보장한다는 것은 4가지 문제점 존재 손실 : packet이 손실될 수 있는 문제 순서 바뀜 : packet의 순서가 바뀌는 문제 Congestion : 네트워크가 혼잡한 문제 Overload : receiver가 overload 되는 문제 흐름제어/혼잡제어란? 흐름제어 (endsystem 대 endsystem)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Flow Co..
[TCP] 3 way handshake & 4 way handshake 연결을 성립하고 해제하는 과정을 말한다 3 way handshake - 연결 성립 TCP는 정확한 전송을 보장해야 한다. 따라서 통신하기에 앞서, 논리적인 접속을 성립하기 위해 3 way handshake 과정을 진행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SYN 패킷을 보냄 (sequence : x) 서버가 SYN(x)을 받고, 클라이언트로 받았다는 신호인 ACK와 SYN 패킷을 보냄 (sequence : y, ACK : x + 1)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응답은 ACK(x+1)와 SYN(y) 패킷을 받고, ACK(y+1)를 서버로 보냄 이렇게 3번의 통신이 완료되면 연결이 성립된다. (3번이라 3 way handshake인 것) 4 way han..
7계층은 왜 나눌까?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단계만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물리(Physical) 리피터, 케이블, 허브 등 단지 데이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하는 공간 즉,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만 진행한다. 2) 데이터 링크(Data Link) 브릿지, 스위치 등 물리 계층으로 송수신되는 정보를 관리하여 안전하게 전달되도록 도와주는 역할 Mac 주소를 통해 통신한다. 프레임에 Mac 주소를 부여하고 에러검출, 재전송, 흐름제어를 진행한다. 3) 네트워크(Network) 라우터, IP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라우터를 통해 이동할 경로를 선택하여 IP 주소를 지정하고, 해당 ..
1. OSI 7 계층이란? OSI 7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1.1 OSI 7 계층을 나눈이유는?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흐름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고,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고,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들이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기 때문이다. (It is because of the fact that it will be easy for troubleshooting the network problems. Only the layer in which the problem exist will be modified. Other layers are ..
DNS(Domain Name System)란 무엇인가? DNS는 도메인네임서버를 일컫는다. 인터넷은 서버들을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IP주소를 기본체계로 이용하는데 숫자로 이루어진 조합이라 인간이 기억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DNS를 이용해 IP주소를 인간이 기억하기 편한 언어체계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 역할을 DNS가 하는 것이다. 도메인이름의 체계와 DNS 질의 과정 인터넷 도메인은 하나의 역트리 구조를 하고 있다. 도메인 구조 인터넷 도메인의 체계에서 최상위는 루트(root)로서 인터넷도메인의 시작점이 된다. 그리고 이 루트도메인 바로 아래단계에 있는 것을 1단계도메인이라고 하며 이를 최상위도메인이라고 한다. 이를 약어로 TLD(Top Level Domain)이라고 한다. 최상위도메..
TCP/IP 네트워크 1.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컴퓨터끼리 통신을 하는데 있어, 상호 간에 정해진 약속의 집합 통신절차, 통신규약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네트워크란,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유선, 무선을 통하여 연결된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서 서로 주고받는 것입니다. 2. RFC(Request For Comments) - 인터넷에 관한 기술 표준을 정하는 단체인 IETF가 정식으로 발행하는 문서. - 인터넷에 이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나 그 밖에 인터넷에 관한 여러 기술사양, 요건을 RFC*** 와 같이 번호를 붙여 서 공개하고 있습니다. - RFC 문서 참조 사이트 http://www.ietf.org/rfc 3. LAN(Local Area Network) - 조직 단위,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