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둘 이상의 CPU or 저장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것
요즘 시대에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인원이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사람들에 대해 모든 트래픽을 감당하기엔 1대의 서버로는 부족하다. 대응 방안으로 하드웨어의 성능을 올리거나(Scale-up) 여러대의 서버가 나눠서 일하도록 만드는 것(Scale-out)이 있다. 하드웨어 향상 비용이 더욱 비싸기도 하고, 서버가 여러대면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구성이 용이하므로 Scale-out이 효과적이다. 이때 여러 서버에게 균등하게 트래픽을 분산시켜주는 것이 바로 로드 밸런싱이다.
로드 밸런싱은 분산식 웹 서비스로, 여러 서버에 부하(Load)를 나누어주는 역할을 한다. Load Balancer를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두고, 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여러 서버에 분산시켜주는 방식이다.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이트의 규모에 따라 웹 서버를 추가로 증설하면서 로드 밸런서로 관리해주면 웹 서버의 부하를 해결할 수 있다.
로드 밸런서가 서버를 선택하는 방식
- 라운드 로빈(Round Robin) : CPU 스케줄링의 라운드 로빈 방식 활용
- Least Connections : 연결 개수가 가장 적은 서버 선택 (트래픽으로 인해 세션이 길어지는 경우 권장)
- Source : 사용자 IP를 해싱하여 분배 (특정 사용자가 항상 같은 서버로 연결되는 것 보장)
로드 밸런서 장애 대비
서버를 분배하는 로드 밸런서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로드 밸런서를 이중화하여 대비한다.
Active 상태와 Passive 상태
장애가 났을 경우 시나리오
- 이중화된 Load Balancer들은 서로 Health Check를 합니다.
- Main Load Balancer가 동작하지 않으면 가상IP(VIP, Virtual IP)는 여분의 Load Balancer로 변경됩니다.
- 여분의 Load Balancer로 운영하게 됩니다.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P 통신이란? (0) | 2020.06.21 |
---|---|
TCP (흐름제어/혼잡제어) (0) | 2020.06.02 |
[TCP] 3 way handshake & 4 way handshake (0) | 2020.05.13 |
OSI 7 계층 (OSI 7 Layer) 개념 쉬운 정리 (0) | 2020.05.12 |
네트워크 OSI 7 계층의 이해 (0) | 2020.04.15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