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IuRRU/btqEyd7PASa/NFLV5NP2knMyYxKkVb7jT1/img.png)
컴포지트 패턴 (composite pattern) 객체들을 트리 구조로 구성하여 부분과 전체를 나타내는 계층구조로 만들수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개별 객체와 다른 객체들오 구성된 복합 객체(composite)를 똑같은 방법으로 다룰 수 있다. 식당 메뉴를 예로들어 생각해본다면 중첩되어 있는 메뉴 그룹과 메뉴 항목을 똑같은 구조 내에서 처리할수 있게끔 하는 것이다. 메뉴와 메뉴항목을 같은 구조에 집어넣어서 부분-전체 계층구조를 생성할수 있다. 이런 복합구조를 사용하면 복합 객체와 개별 객체에 대해 구분없이 똑같은 작업을 적용할 수 있다. 컴포지트 패턴 클래스 다이어그램 컴포지트 패턴을 메뉴에 적용시켜본다면.. 우선 구성요소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보자. 이 인터페이스는 메뉴와 메뉴 항목 모두에 적용..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vKZmS/btqEPvPrfZp/ZxZrmia0HKWMe22FJmTvek/img.png)
오라클 논리/물리적 구조 1. 오라클 DB의 논리/물리적 구조 논리적 구조 : 테이블 처럼 존재는 하지만 가져갈 수 없는 것 물리적 구조 : 이메일 파일 첨부와 같이 파일을 직접 만질 수 있는 것(리눅스에서 ls 통해 보여지는 파일들) - 테이블 스페이스 : 지역(땅 덩어리) - 세그먼트 : 건물 - extent : 건물의 층 - Datablock : 건물의 사무실 테이터 파일은 테이블 스페이스 안에 여러 개가 존재 할 수 있다. 조회할 테이블이 어느 테이블 스페이스에 속해 있는지 조회하는 방법 SQL> select table_name, tablespace_name 2 from dba_tables 3 where table_name='EMP'; TABLE_NAME TABLESPACE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4AHs8/btqEw2e6izM/hefhYnkiGzoBsikLgT35u0/img.png)
이터레이터 패턴 (iterator pattern) 컬렉션 구현 방법을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그 집합체 안에 들어있는 모든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컬렉션 객체 안에 들어있는 모든 항목에 접근하는 방식이 통일되어 있으면 어떤 종류의 집합체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는 다형적인 코드를 만들수 있다. 이터레이터 패턴을 사용하면 모든 항목에 일일이 접근하는 작업을 컬렉션 객체가 아닌 반복자 객체에서 맡게 된다. 이렇게 하면 집합체의 인터페이스 및 구현이 간단해질 뿐 아니라, 집합체에서는 반복작업에서 손을 떼고 원래 자신이 할 일(객체 컬렉션 관리)에만 전념할 수 있다. 이터레이터 패턴 클래스 다이어그램 두개의 서로다른 식당이있고 각각의 식당에서 메뉴를 구현한다고 가정해보자. public class..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