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UmfXS/btqEw2lZ9pO/Ic27dDPLIKgFqpwq6hLfC1/img.png)
OAuth Open Authentification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있는 개방형 표준 방법 이러한 매커니즘은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이 사용하고 있으며 타사 애플리케이션 및 웹사이트의 계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해준다. 사용 용어 사용자 : 계정을 가지고 있는 개인 소비자 : OAuth를 사용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접근하는 웹사이트 or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자 : OAuth를 통해 접근을 지원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소비자 비밀번호 : 서비스 제공자에서 소비자가 자신임을 인증하기 위한 키 요청 토큰 : 소비자가 사용자에게 접근권한을 인증받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담겨있음 접근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2glYP/btqEwJf5mCV/YmScFu9oyeAY2K9Fo3ECYK/img.png)
REST API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에 고유한 URI를 부여해 활용하는 것 *자원을 정리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론을 의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 API를 통해 소스 및 DB에는 접근하지 못하게 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게 하는 것이다. REST API(REST + API) REST의 특징을 지키면서 API를 제공하는 아키텍쳐 REST의 요소 Method Method 의미 Idempotence GET Select Yes POST Creat..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zcFLf/btqEw1URcyP/jjF3DhGDaGpqskwtuZU50k/img.png)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둘 이상의 CPU or 저장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것 요즘 시대에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인원이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사람들에 대해 모든 트래픽을 감당하기엔 1대의 서버로는 부족하다. 대응 방안으로 하드웨어의 성능을 올리거나(Scale-up) 여러대의 서버가 나눠서 일하도록 만드는 것(Scale-out)이 있다. 하드웨어 향상 비용이 더욱 비싸기도 하고, 서버가 여러대면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구성이 용이하므로 Scale-out이 효과적이다. 이때 여러 서버에게 균등하게 트래픽을 분산시켜주는 것이 바로 로드 밸런싱이다. 로드 밸런싱은 분산식 웹 서비스로, 여러 서버에 부하(Load)를 나누어주는 역할을 한다. Load Ba..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