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브옵스(DevOps) Development + Operations의 합성어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정보기술 전문가 간의 소통, 협업 및 통합을 강조하는 개발 환경이나 문화를 의미한다. 목적 : 소프트웨어 제품과 서비스를 빠른 시간에 개발 및 배포하는 것 결국, 소프트웨어 제품이나 서비스를 알맞은 시기에 출시하기 위해 개발과 운영이 상호 의존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의미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데브옵스의 개념은 애자일 기법과 지속적 통합의 개념과도 관련이 있다. 애자일 기법 실질적인 코딩을 기반으로 일정한 주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프로토타입을 형성하고, 필요한 요구사항을 파악하며 이에 따라 즉시 수정사항을 적용하여 결과적으로 하나의 큰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적응형 개발 방법 지속적 통합 통합 작업을 초기부터 계..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 프로그램이 CPU에 의해 실행됨 → 프로세스가 생성되고 메모리에 **'프로세스 주소 공간'**이 할당됨 프로세스 주소 공간에는 코드, 데이터, 스택으로 이루어져 있다. 코드 Segment : 프로그램 소스 코드 저장 데이터 Segment : 전역 변수 저장 스택 Segment : 함수, 지역 변수 저장 왜 이렇게 구역을 나눈건가요? 최대한 데이터를 공유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줄여야 합니다. Code는 같은 프로그램 자체에서는 모두 같은 내용이기 때문에 따로 관리하여 공유함 Stack과 데이터를 나눈 이유는, 스택 구조의 특성과 전역 변수의 활용성을 위한 것! 프로그램의 함수와 지역 변수는, LIFO(가장 나중에 들어간게 먼저 나옴)특성을 가진 스택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이 함수들 안에..

견리사의견위수명(見利思義見危授命), 이익을 보거든 정의를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거든 목숨을 바치라) 여기서 견리사의(見利思義)와 견위수명(見危授命)은 안중근 의사가 100년 전에 여순 감옥에서 나라의 앞날을 걱정하며 자신의 철학과 심경을 피력하였던 간절한 마음이 읽혀지는 내용이다. 견리사의는 이익 보는 것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익을 얻는 과정이 정당한 것인지 아닌지를 따져보라는 뜻이다. 이익이 된다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익을 쫓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1910년 2월 안중근이 옥중에서 남긴 글씨이다. 말미에 '庚戌二月 於旅順獄中 大韓國人 安重根 書'(경술이월 어려순옥중 대한국인 안중근 서)라는 낙관이 있고 그 아래 장인이 찍혀있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