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C++, Java 이 모든 언어의 공통적인 특징중의 하나가 bit 연산이 가능하다는 것. 아무래도 인간은 0과 1의 bit 배열보다는 10진수에 익숙한데 bit 연산이 효율이 좋은건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 앞으로도 bit연산에 대해서 계속 포스팅을 하겠지만 오늘은 bit 연산 기법중 기본이라 할 수 있는 toggle 방식을 보겠다. 프로그래밍을 하다가 보면 Toggle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가장 많은 경우가 특정 버튼을 눌렀을 때 값을 0과 1 혹은 true, false로 계속 토글하는 경우가 되겠다. java 언어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자면, 버튼이 눌릴 때 호출되는 함수를 onClick(.... ) 이라고 가정할 때 아래와 같이 짜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boolean toggle = fa..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ynkRr/btqGfMtxMlr/l0j3T4xHw33kxoOpfNmS61/img.png)
AlexyAB의 YOLO github page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들어가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YOLO Training on Windows. 명령어 사용법 -ext_output : output coordinate of objects -save_labels < data/test.txt : test.txt에 적힌 경로의 이미지에 label 적힌 txt 저장.(Marking 좌표 저장) ex) darknet.exe detector test .data .cfg .weights -dont_show -ext_output -save_labels < data/train.txt 이미지 예시 darknet.exe detector test datafile.data cfgfile.cfg weightsfile..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