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유통과 물류의 비교 유통(Distribution)은 넓은 의미에서 보면, 생산자로 부터 소비자에 '소유권의 이전'을 의미하는 상적유통(상류)과 '실물의 이동'을 의미하는 물적유통(물류)로 구분하여 이 두가지를 포함하여 유통의 의미로 보고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유통은 협의의 유통인 상적유통(상류)를 말한다. (1) 상류(상적유통, 협의의 유통) 상적유통 즉 상류는 일반적으로 유통이라 불러이지는 것이며, 협의의 유통을 가리킨다. 상적유통(Commercial Distribution)은 소유권 이전 활동과 관련된 거래활동으로 대금지불의 행위가 일어나며, 금융과 보험 등의 보조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유통은 다른 쉬운말로 '거래'라는 말이 되며 점포에서 이러우지는 소비자의 상거래 행위가 ..

1. 물류의 기능 물류의 목적인 물류비용의 절감과 물류서비스의 향상을 반드시 인식한 다음, 이러한 물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활동으로 물류의 5대 기능을 잘 인식해야 할 것이다. 결국 물류의 활동은 이 5가지의 물류기능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잘 수행하느냐에 따라서 물류의 승패가 좌우될 것이다. 각각에 존재하는 물류의 기능들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각 기능별로 물류의 목적인 물류 비용의 절감과 물류서비스의 향상이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물류의 5대 기능은 일반적으로 운송, 보관, 하역, 포장(유통가공), 정보처리의 5가지로 나누어진다. 과거에는 정보처리를 뺀 운송, 보관, 하역, 포장, 유통가공의 5가지를 물류의 5대 기능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보처리의 역할이 커지므로 인해서 ..

1. 운송의 개념 1) 장소적 효율창출 운송은 물류에서 장소적 효율을 창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생산된 장소와 소비되는 장소가 상이함으로 인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운송의 개념이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장소적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생산자와 소비자를 원활히 결합함으로 재화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공간적 이동행위를 운송이라고 한다. 운송은 경제규모의 확대와 국제무역의 활성화로 운송의 대형화, 신속화, 안전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해오게 되었으며, 이러한 운송의 발달은 인간의 생활을 풍족하게 하는데 크게 기여해 왔다. 장소적 효율 2) 운송의 수송기능과 배송기능 초기에는 공장에서 생산된 물건을 소비자가 구매하는 점포로 직접 배송을 실시하였으나,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게 되면..
- Total
- Today
- Yesterday